올해 금융 시장은 년초부터 배트맨으로 떠들썩했습니다.
기존 글로벌 주식시장을 이끌던 매그니피센트7에 더해 브로드컴이 추가되면서 앞글자를 딴 BATMMAAN이 탄생합니다.
2010년대 들어 소위 말하는 빅테크들이 주도하는 주식 시장이 화제였습니다.
2013년에 FAANG이 탄생했는데, 페이스북과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의 앞글자를 딴 거죠.
이후 헐리웃영화 매그니피센트세븐(Magnificent 7)이 시장을 주도하게 됩니다.
작년에는 AI5가 잠시 뜨기도 했지만 이후 다시 M7이 주도하는 시장이 됩니다.
그런데 2025년을 전망할 때 제가 작년에 빅테크8로 소개하기도 했던 브로드컴이 추가되면서,
앞글자를 딴 배트맨이 여기저기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2025년의 첫 달인 1월 월간 수익률과 함께 최근 1년간 수익률을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1월 월간 수익률 1위는 메타(META)입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기반으로 소셜미디어 광고 비즈니스에 강점을 둔 메타.
메타는 1월 한달 동안 무려 +17.71%의 상승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월간 수익률 1위를 차지했습니다.
심한 조정을 받고 난 뒤의 갭상승으로 보기도 어려운 것이, 최근 1년간 수익률도 +76%를 넘습니다.
2025년 1월 월간 수익률 2위는 아마존(AMZN)입니다.
아마존도 전자상거래와 AWS(아마존 웹 서비스)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으로 꾸준학 수익률을 기록하는 종목입니다.
한달간 +8.34%의 높은 수익률과 년간 +53.14%로 지수를 두배이상 압도하는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3위는 구글(GOOGL)입니다.
구글로 대표되는 검색과 유투브 등을 통한 전통적인 광고수익이 받쳐주고 있으며, 클라우드서비스와 양자컴퓨팅 AI 등에도 선도적인 종목입니다.
1월 한달간 +7.78%와 1년간 45.62%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4위는 S&P500 지수추종 ETF인 SPY입니다.
1월 한달간 +2.69%, 1년간 +24.63%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S&P500은 여느 펀드나 종목들의 성적을 가늠할 때 기준점이 되는 종목입니다.
즉, 1월 한달동안 배트맨 8종목 중에서 지수를 앞선 종목은 3종목이었단 이야기입니다.
5위는 나스닥100 지수추종 ETF인 QQQ입니다.
1월 한달간 +2.16%로 SPY에 뒤지지만, 1년간 +25.26%로 근소하게 SPY를 앞서고 있습니다.
나스닥지수는 S&P500과 다우존스30과 함께 3대 지수로 불리기도 합니다.
6위는 나스닥기반의 커버드콜 ETF인 JEPQ입니다.
일반적인 커버드콜과는 다소 다른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편의상 월배당 ETF로 인기가 높아 추가했습니다.
1월 한달간 +1.93%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배당률이 높은 배당 ETF인 만큼 주가 수익률은 1년 +11.74%를 기록했습니다.
ETF들은 배당률을 포함한 Total Return으로 따로 정리했습니다.
7위는 국내에서 인기가 높은 배당 ETF인 SCHD입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는 종목답게 중간에 위치했습니다.
1월 한달간 +1.87%, 1년간 +9.52%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8위는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테슬라입니다.
테슬라는 지난해 상반기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트럼프트레이드와 함께 하반기 폭발적인 상승을 기록한 종목입니다.
1월 한달간 +0.19%로 마이너스를 면했습니다. 최근 1년간 수익률은 +116.03%로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9위는 전통의 강자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는 ChatGPT의 개발사 Open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긴밀히 협업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오피스, 윈도우 뿐만 아니라 AI를 접목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구글, 아마존과 함께 클라우드 시장을 3등분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실적 발표후 폭락하며 수익률이 대폭 깎여나간 종목입니다.
1월 한달간 -1.53%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1년간 수익률이 +4.4%에 불과하며 예금 수익률과 비슷하였습니다.
10위는 브로드컴.
바로 이 브로드컴으로 인해 배트맨이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나머지 배트맨(BATMMAAN)종목들은 사실 기존 매그니피센트7과 동일하기 때문이죠.
브로드컴은 과거 네트워크 관련 기업으로 분류됐지만, AI 반도체 시장이 활짝 열리며 다시 떠오른 기업입니다.
2024년 한 해동안만 주가가 무려 146% 급등하며 시장의 중심으로 부상하기도 했습니다.
브로드컴은 맞춤형 반도체(ASIC) 기술로 엔비디아가 장악한 AI반도체 시장에서 자기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최근 딥시크발 반도체 폭락장 여파로 브로드컴도 수익률이 꽤 낮아졌습니다.
1월 한달간 -4.56%를 기록했습니다. 그래도 최근 1년 수익률은 +87.52%로 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11위는 전세계 시총 1위인 애플입니다.
애플은 -5.76%의 월간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연말 신고가를 이어가다가 트럼프와 중국 갈등 여파로 크게 수익률이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최근 실적 발표 이후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하여 수익률을 크게 만회하기도 했습니다.
1년 수익률은 +27.98%로 3대 지수보다는 앞서는 수익률을 기록중입니다.
12위는 AI시장의 황제 엔비디아.
2024년에만 171%의 상승을 기록했던 엔비디아.
AI반도체 시장의 9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사실상의 독과점 기업.
2025년에는 본격적인 블랙웰 출하로 압도적인 매출 상승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최근 딥시크발 AI 섹터 폭락으로 인해 1월 한달 수익률은 -10.59%를 기록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년 수익률은 +95.14%로 테슬라에 이은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배트맨(BATMMAAN)과 대표 ETF들의 월간, 년간 수익률을 비교해 봤습니다.
ETF들은 배당락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 주가 비교만으로는 실제 수익률을 가늠하기가 어렵습니다.
물론 QQQ처럼 배당률이 낮은 종목은 배당금포함 Total Return과 단순 주가 수익률 Price Return의 차이가 적지만,
배당률이 높은 JEPQ같은 종목들은 Total Return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QQ, SPY, JEPQ, SCHD의 2025년 1월 기준 최근 1년간 Total Return 수익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언제나 이티에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월말 SOL ETF 13종 분배금 공지. 지급예정일 2월 3일. (0) | 2025.01.30 |
---|---|
2025년 1월말 ACE ETF 13종 분배금 공지. 지급예정일 2월 4일. (0) | 2025.01.30 |
2025년 1월말 RISE ETF 22종 분배금 공지. 지급예정일 2월 4일.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