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이티에프..

가장 많은 미국 개인투자자들이 투자한 종목만 담은 직투용 ETF. KODEX 미국서학개미의 원조격인 SFYF.

Hee 2025. 7. 19. 08:02
반응형

지난해 국내에 상장된 ETF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던 종목은 KODEX 미국서학개미였습니다.

서학개미 따랐더니 ETF 수익률 1위(매일경제: 25.01.06 기사)

 

우리나라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 주식 종목들을 선별하여 담은 ETF였죠.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를 반영하여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에 상장된 직투용 ETF 중에서도 이와 비슷한 컨셉의 종목이 있어 가져 왔습니다.

이름하여 SFYF (SoFi Social 50 ETF)입니다.

 

1. 기본정보

SoFi Socail Fifty ETF.

2019년 5월 상장하여 6년이 흘렀으며 운용보수는 0.29%입니다.

SoFi는 해당 ETF의 운용사이며, 국내에서도 소파이로 불리는 투자자들이 꽤 있는 금융기업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으로 치면 토스나 카카오뱅크같은 인터넷전문은행이었죠.

현재는 은행업 뿐만 아니라 소매 금융 전반적으로 운영되는 기업입니다.

투자 종목은 뒤에 붙은 소셜50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SFYF ETF의 컨셉은 그러한 SoFi의 계좌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 종목 50개를 모아놓은 ETF입니다.

 

 

2. 특징

앞서 적었다시피 SFYF ETF는 SoFi 플랫폼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미국 주식 50개로 구성됩니다.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은 매달 투자 순위에 따라 리밸런싱됩니다.
또한 각 종목은 SoFi 회원들의 투자 금액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됩니다.

다시 말하자면, 50개의 종목을 선정하는 기준은 해당 종목을 보유하고 있는 계좌수를 기준으로 하지만, 구성 종목의 비중은 계좌 수가 아니라 보유 금액 기준입니다.

즉 10만원씩 1억명의 계좌에 담겨 있는 종목보다, 1억원씩 100명의 계좌에 담겨 있는 종목의 비중이 더 크게 됩니다.

유사한 성격의 ETF로는 국내에서도 많이 알려진 KODEX 미국서학개미 ETF 혹은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가 있습니다.


3. 추종지수

따라서 SFYF ETF는 일반적인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ETF들과는 달리, 추종 지수가 별도로 없습니다.

또한 특정 플랫폼 사용자들의 투자 동향을 기반으로 운용됩니다. 

국내의 유사 ETF인 KODEX 미국서학개미등의 경우는 외탁결제원을 통한 국내 투자자 전체의 투자현황을 알 수 있지만, SFYF는 SoFi 플랫폼의 투자자만의 현황으로 산출됩니다. 따라서 SoFi Invest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는 투자자들을 포함했을 때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구성종목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 플랫폼이라 하더라도 수많은 사람들의 계좌가 포함된 만큼, 중소형 밈주식 뿐만 아니라 대형주 우량주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매그니피센트7으로 불리는 빅테크는 물론이거니와, 버크셔해서웨이나  코스트코 화이자같은 대형 우량주도 포함됩니다.  AT&T나 리얼티인컴 코카콜라 같은 배당 중심 성향 투자자들의 종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꽤 다양한 성향의 투자자들의 선호종목들이 골고루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입니다.

 

 

4. 미국S&P500과의 비교.

미국시장을 대표하는 지수가 S&P500인 만큼 대부분의 펀드들을 벤치마크 대상으로 S&P500을 참조합니다.

SFYF는 과연 투자자들의 집단지성(?)을 통한 투자가 얼마만큼 S&P500과 차이가 났는지 비교해 보겠습니다.

 

 

SFYF는 출시후 누적 수익률에서 S&P500을 초과하는 수익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추종 QQQ마저도 초과하는 수익을 기록중입니다.

이는 사람들이 많이 투자하는 종목, 소위 말하는 밈주식들이 많이 포함되다 보니 변동성이 큰 영향으로 보입니다.

차트로 보면 변동성이 더 잘 보입니다.

 

코로나 폭등장때 레버리지에 가까운 상승폭을 보였으나, 2022 금리인상발 폭락장 때는 가장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올해도 상반기 관세전쟁발 대폭락때는 무려 연초대비 -21%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QQQ도 당비 -18%의 연초대비 마이너스였는데 더 큰 하락을 기록한 겁니다.

그러나 이후 찾아온 상승랠리에서는 다시 역전을 거듭하며 현재처럼 연초대비 +12.59%라는 높은 수익률로 복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정리하며

이름에서 부터 인기있는 50개 종목을 투자하는 것을 표방한 ETF인 만큼, 밈주식 특유의 큰 변동성을 지닌 ETF입니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 잘 어울립니다.

개별주는 무섭고 지수추종은 지루한 투자자라면 코어-위성 전략으로 일부 비중을 투자해봄직한 ETF라고 생각됩니다.

 

 



반응형